본문 바로가기
정치/정책·정보모음

2023년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자격 조건

by JAEMJAEM 2023. 4. 14.

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가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부할 수 있는 상품으로, 5년동안 적금을 납입하면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청년도약계좌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만19세~36세 청년
    병역을 이행한 경우,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이 적용되지 않음
  2. 개인소득 기준 7500만원 이하, 가구소득중위 180% 이하
    총 급여 6천만원 이하일 경우, 정부기여금 지급과 비과세 적용 가능
    총 급여 기준 6천만원~7천5백만원일 경우, 정부기여금 없이 비과세만 적용 가능
  3.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
  4. 지자체 자산형성상품 및 내일채움공제 동시가입 가능
  5.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제한

✅ 가구 중위소득 확인하기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

청년도약계좌는 올해 6월에 개시되어 12월까지 매월 가입신청을 받을 예정입니다. 가입신청을 받은 후 비대면 심사가 진행되며, 2~3주 내에 심사완료 후 통보합니다.

 

만기 5년 상품이기 때문에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개인소득을 확인하여 자격유지가 가능한지 심사합니다. 심사결과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확정되는 시스템입니다.

 

※ 가입 이후 만34세가 넘어가더라도 본인이 중도해지 하지 않는 한 계좌 유지가 가능합니다.

※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할 경우에는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.

(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 이주, 가입자의 퇴직, 사업장의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, 생애최초 주택 구입)

※ 본인 의사에 따라 중도해지되는 경우에는 본인이 납부한 금액만 지급되고 정부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은 지원받을 수 없습니다.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

청년도약계좌는 아직 취급기관이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. 서민금융진흥원 링크를 통해 수시로 확인하셔서 신청방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 

✅ 서민금융진흥원 바로가기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수령액

정부기여금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을 두고 있습니다.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가입 후 3년동안은 고정금리,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.

 

최종만기 수령액 = 본인납입금 + 정부 기여금 + 경과이자

 

※ 개인소득에 따른 기여금 지급한도와 매칭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 지원금액


 

⏺️ 2023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

 

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 및 자격조건 알아보기

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의 자산형성과 자립을 촉진시켜 정년들의 사회 정착에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. 정부가 일정비율로 장려금을 지원해 청년의 자산형성을 극대화 시키려는 취지를 갖고

imojeomo365.tistory.com

 

댓글